본문 바로가기
Bit일기

디지털 생활에도 디톡스(Detox)가 필요해

by Bit일기 2025. 1. 5.
반응형

디지털 디톡스: 건강한 디지털 생활을 위한 작은 첫걸음

요즘 들어 스마트폰을 손에서 놓기가 어려워졌다. 하루 종일 울리는 알림, 한 번 들어가면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보게 되는 SNS, 그리고 자꾸만 유혹하는 숏폼 콘텐츠까지. 마치 스마트폰과 한 몸이 된 기분이다. 밤늦게까지 화면을 들여다보는 습관이 생겼고, 아침에는 일어나자마자 스마트폰을 찾는 나를 발견한다. 최근에는 눈도 더 쉽게 피로해지고, 집중력도 점점 떨어지는 느낌이다.

나만 이런 걸까?

아니었다. 주변을 돌아보니 스마트폰에 몰두한 사람들 투성이였다. 이런 나에게 필요한 것이 뭘까? 바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다. 최근에 건강을 위해 아침에 일어나자마 해독 주스를 한 잔 마시는 것처럼, 디지털 생활에서도 디톡스가 필요하다는 걸 깨달았다. 디지털 디톡스는 현대인에게 중요한 생활 습관이라고 생각한다.

디지털 디톡스는 단순히 디지털 기기와 거리를 두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우리가 일상 속에서 무심코 흘려보낸 시간과 에너지를 되찾고, 삶의 균형을 되찾기 위해 필요한 일이다. 그렇다면 디지털 디톡스란 무엇이고, 어떻게 실천할 수 있을까? 지금부터 관련된 내용을 하나씩 살펴보자.


디지털 디톡스란 무엇인가?

디지털 디톡스란 간단히 말해 디지털 기기, 특히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와 같은 전자기기의 사용을 줄이거나 잠시 멈추는 것을 말한다. 목표는 단순하다. 지나친 디지털 의존에서 벗어나 몸과 마음의 균형을 회복하자는 것이다.옥스포드 영어사전은 이를 아래와 같이 정의하고 있다.

A period of time during which a person refrains from using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phones or computers, regarded as an opportunity to reduce stress or focus on social interaction in the physical world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사용을 중단하며, 현실 세계에서의 사회적 교류를 통해 스트레스와 주의력 부족을 완화하는 시간

디지털 디톡스의 느낌을 표현한 이미지 ⓒ 생성 이미지
디지털 디톡스의 느낌을 표현한 이미지 ⓒ 생성 이미지

즉, 디지털 디톡스는 단순한 금욕이 아니라, 나 자신을 위한 회복의 시간이다.


디지털 디톡스가 필요한 이유는 뭘까?

현대 사회의 스마트폰 과의존 문제는 생각보다 심각하다. 앞서 일상에서 스마트폰을 손에서 놓지 못했던 내 경험담을 이야기했지만, 나와 비슷한 문제를 겪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다.

연령별 일상생활 필수매체 통계 ⓒ 방송통신위원회 보도자료
연령별 일상생활 필수매체 통계 ⓒ 방송통신위원회 보도자료

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가 발표한 ‘2024 방송매체 이용행태조사’에 따르면, 스마트폰 이용자 비율은 전년 91.4%에서 92.2%로 증가했다. 주 5일 이상 스마트폰을 통해 소비하는 콘텐츠 중 숏폼 콘텐츠가 41.8%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OTT 서비스 이용 유형에서 숏폼 콘텐츠 소비 비율은 전년 58.1%에서 올해 70.7%로 크게 증가했다. 하루 평균 스마트폰을 통한 OTT 서비스 이용률은 91.2%로 상승하며, 스마트폰과 숏폼 콘텐츠 의존이 점점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미국의 컴퓨터과학자 주디스 도나스의 경고처럼, 스마트폰에 지나치게 의존할수록 기억력과 주의력이 저하되고, 불안감과 우울감을 호소하는 경우도 늘어난다는 연구 결과들이 꾸준히 발표되고 있다. 나 역시 SNS를 지나치게 보며 타인과 나를 끊임없이 비교하고, 이유 없이 불안감을 느끼는 일이 많았다. 내가 디지털 디톡스를 결심하게 된 계기이다.


디지털 디톡스의 효과 : 스마트폰 중독과 디지털 피로에서 벗어나는 방법

작은 변화라도 실천을 시작하니 예상치 못한 긍정적인 효과들이 나타났다. 우선, 밤에 스마트폰을 멀리하니 잠이 더 잘 왔다. 눈도 덜 피로했고, 하루의 시작이 좀 더 개운해졌다. 또, 업무나 공부 중간에 스마트폰에 한눈팔지 않으니 집중력이 확실히 좋아졌다. 이전에는 간단한 일도 몇 번씩 중단되었지만, 이제는 더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게 됐다.

디지털 디톡스는 단순히 생산성을 높이는 데만 그치지 않는다. 오랜만에 친구와 카페에서 만났는데, 스마트폰 없이 오롯이 대화에 집중하니 관계의 깊이가 달라진 느낌이었다. 예전에는 SNS에서만 대화를 이어가던 친구와도 더 진솔한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다.


디지털 웰빙(digital well-being)을 위한 실천 방법 : 디지털 미니멀리즘

디지털 웰빙을 위해서는 스마트폰 알림 끄기와 SNS 단식을 포함한 디지털 미니멀리즘 실천이 중요하다. 디지털 기기의 사용 시간을 줄이고 디지털 디톡스를 진행하는 것이다. 이를 실천하기 위한 몇 가지 방법을 소개한다.

방법 구체적인 실천 방안
시간 제한 설정 - 잠들기 전 1시간 스마트폰 사용하지 않기
- 취침 전 독서나 명상으로 하루 마무리하기
디지털 디톡스 앱 활용 - Forest 앱 등을 이용해서 스마트폰 사용 시간 제한하기
- 집중 시간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폰 내려놓기 습관:
오프라인 활동 및 대체 활동
- 산책, 운동 등 오프라인 활동에 시간 투자하기
- 새로운 취미 개발 및 활동 목록 작성하기
- 스마트폰 없이 주변 환경에 집중하기
단계적 접근 - 사용하지 않는 앱 삭제하기
- SNS 알림 끄기
- 점진적으로 디지털 기기 사용 줄이기
디지털 프리 공간 만들기 - 집 안에 스마트폰이나 노트북을 두지 않는 공간 지정하기
- 식사 시간에는 디지털 기기 사용하지 않기
정기적인 디지털 디톡스 실천 - 주 1회 또는 월 1회 완전한 디지털 디톡스 날 실천하기
- 가족이나 친구들과 함께 오프라인 활동 즐기기
아날로그 도구 활용 - 종이 책 읽기
- 손글씨로 일기 쓰기
- 실제 알람 시계 사용하기
디지털 기기 사용 목적을
명확히 하기
-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마다 그 목적을 명확히 생각하기
- 무의식적인 스크롤링 줄이기
디지털 기기 접근성 줄이기 - 스마트폰을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두기
- 불필요한 앱은 홈 화면에서 제거하기

스마트폰 중독을 방지하고 집중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Forest' 앱 ⓒ 구글 Play 앱스토어
스마트폰 중독을 방지하고 집중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Forest' 앱 ⓒ 구글 Play 앱스토어


디지털 디톡스의 사회적 움직임

디지털 디톡스는 개인의 실천을 넘어 사회적 운동으로도 확산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매년 3월 초에 ‘국가 디지털 디톡스의 날(National Day of Unplugging)’ 캠페인을 진행한다. 24시간 동안 디지털 기기 사용을 자제하는 이 운동은 점점 더 많은 사람의 참여를 끌어내고 있다. 한국에서도 디지털 디톡스 카페나 워크숍 등이 인기를 끌고 있다. 이런 움직임을 통해 디지털 의존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곳곳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건강한 생활을 위해서는 디지털 생활에서도 디톡스가 필요하다!

디지털 디톡스는 단순히 스마트폰을 멀리하는 게 아니다. 이는 자신을 돌아보고, 더 나은 삶의 균형을 찾는 과정으로 이해하고 실천해야 하는 일이다. 나처럼 스마트폰 사용이 일상이 되어버린 사람이라면, 작은 변화부터 시도해보는 것이 좋다. 알림을 끄거나, 하루 30분이라도 스마트폰 없이 지내보는 것부터 시작해보자. 처음엔 조금 답답할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 그 가치를 실감할 것이다.

디지털 세상에서 잠시 벗어나 나 자신을 위한 시간을 가지기 위해 노력하는 것. 나의 2025년 버킷리스트 중 하나이다.


참고자료(References)

  • 방송통신위원회,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2024). 2024 방송매체 이용행태조사.
  • Oxford University Press. (n.d.). Digital detox. In Oxford English Dictionary. Retrieved January 5, 2025, from https://www.oed.com/
  • Google Play. (n.d.). Forest - 집중력 향상 앱 [Mobile app]
  • National Day of Unplugging. (2009). About National Day of Unplugging
  • Donath, J. (2023). The social machine: Designs for living online. MIT Press.

 

반응형